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리뷰

앞에는 제네시스, 뒤에는 쏘나타. 2025 현대 그랜저 리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접니다.

이번에 알아볼 차량은 모든 아빠들의 현실적인 드림카.
아빠들의 페라리, 현대 그랜저입니다.

수입외제차가 공도에서 정말 많이 보이는 요즘이지만,

그렇다고 그랜저가 '급이 낮은' 차량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그랜저는 고급 세단이죠.

뒤에선 쏘나타가 쫒아오고 앞에선 제네시스가 막아서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그랜저.
오늘은 이 그랜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렛쮸고~~)

한국 대표 플래그십 세단, 2025 그랜저

2025년 국내 세단 부문에서 검색량 상위에 오른 7세대 현대 그랜저는 ‘가족과 비즈니스 모두를 아우르는 세단’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전장 5,035mm에 이르는 대형 플래그십 차체와 첨단 편의·안전 사양으로 세단 시장을 다시 한번 흔들 준비를 마쳤습니다.
(아무래도 소나타의 체급이 커짐에 따라서 그랜저의 등급을 한 단계 위로 끌어올린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랜저의 주요 특징부터 디자인, 파워트레인, 실내 인테리어, 성능, 제원, 가격, 경쟁 차종, 시장 위치, 추천 옵션, 결론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차량 특징

• 7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전장 5,035 mm·전폭 1,880 mm·전고 1,462 mm·휠베이스 2,895 mm의 넉넉한 차체 크기를 자랑합니다.
•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 및 3.5 엔진, 1.6 터보 하이브리드, LPG 3.5 엔진등 선택 가능한 파워트레인 폭이 넓습니다.
• 파노라마 커브드 디스플레이(12.3" 슈퍼비전 클러스터 + 12.3" 인포테인먼트)를 기본 적용하여 차급에 맞는 사양을 보여줍니다.
• 전방 예측 변속, 통합 주행 모드, 멀티 챠지 전기식 스티어링(R-MDPS) 등 최신 기술을 탑재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돕습니다.

 

디자인

• 전면부: 대형 파라메트릭 쥬얼 그릴과 심리스 호라이즌 LED 헤드램프가 조합되어 미래적인 분위기를 풍깁니다. 개인적으로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굉장히 멋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호불호가 조금 갈리는 모양입니다.


• 측면: 긴 보닛라인과 매끈한 캐릭터 라인이 이어져 '플래그십 세단'의 품격을 강조합니다. 확실히 옆모습은 고급스러운 느낌이 물씬 풍기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죠. (역시 아빠들의 드림카)


• 후면부: 일체형 LED 리어 램프와 범퍼 디퓨저 디자인으로 시각적 안정감 및 공력성능을 개선했습니다.

• 18~20인치 알로이 휠 선택 가능, 옵션에 따라 스포티함과 고급감을 사용자의 입맞에 맞춰 커스텀 할 수 있습니다.

 

파워트레인

•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 엔진 + 8단 자동변속기
•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3.5 엔진 + 8단 자동변속기 (AWD 선택 가능)
• 1.6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 가솔린 엔진 + 전기모터, 시스템 출력 약 230 PS
• LPG 3.5 엔진: 파워트레인/성능 최적화, 부드러운 주행감 제공 (유류비가 저렴합니다.)

 

파워트레인에서 눈여겨 볼만한 부분은 전동화된 파워트레인이 하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그 하나의 사양도 '하이브리드'를 내세운 반전동화에서 그쳤다는 것이죠. 거세지는 환경 규제와 차량의 전동화 흐름에 맞춰 완전 전동화 옵션으로 구성할만한데, 어째서인지 이번 2025 그랜저는 내연기관을 앞세운 모습입니다.

역시 근본있고 역사가 있는 차량답게 내연기관을 채택한 모습, 너무 마음에 듭니다. 제가 산다면 3.5 가솔린, 3.5 LPI 엔진 중에 고민할 것 같네요.

 

실내 인테리어

• 12.3인치 풀터치 파노라마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습니다. 한가지 특징이라고 할 부분은 디스플레이 콘솔부터 조수석으로 이어지는 인터렉티브 엠비언트 라이트인데요(Interactive Ambient Mood Lamp), 정말 독특하고 세련된 조명이 그랜저가 왜 플래그십 세단으로 불리우는지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크래시 패드의 무드램프가 주행 상황과 연동하여 다양한 컬러와 운동감으로 '순차' 점등된다는 점에서 실내 분위기를 정말 세련되게 가꿔줄 수 있겠습니다.)

'캘리그라피' 라고 적혀있는 깨알같은 포인트 디테일도 차량의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해주고 있네요.

• 센터콘솔에 듀얼 무선충전 패드, 넉넉한 수납 공간을 배치하여 휴대폰 충전 및 컵홀더 사용, 기타 차량 악세사리 배치 등 실내 편의 부분에서도 강력한 이점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1·2열 통풍·열선 시트, 2열 리클라이닝·전동 슬라이딩 기능 제공합니다.
- 사실 이 옵션은 말이죠, 그랜저 차급을 생각하면 당연한 옵션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알칸타라·가죽 투톤 시트, 향상된 음향을 위한 BOSE 프리미엄 사운드(14스피커) 옵션
- 알칸타라 가죽 시트와 오디오 옵션입니다. 실내 분위기를 시,청각적으로 좀 더 세련되고 고급스럽게 바꿔 줄 수 있겠죠.
(근데 이럴거면 그냥 제네시스로 가는게..)

성능

• 스마트스트림 2.5 모델 복합 연비 11.2 km/ℓ, 3.5 모델 복합 연비 10.4 km/ℓ (18″ 휠 기준)
- 실제 주행 연비는 8~10km/l 사이에서 주행 가능 할 것으로 보입니다.

• 0→100 km/h 가속: 2.5 가솔린 약 8.5초, 3.5 가솔린 AWD 약 7.9초
- 아무래도 차량의 무게와 탑승 목적을 고려했을 때, 100km까지의 가속 성능은 조금 떨어지는 모습입니다만..
이는 제가 여태까지 리뷰한 차량들의 가속 성능이 빠른 편이라 그렇지, 전혀 느린 가속력은 아닙니다.

• 전자제어 서스펜션(플래티넘 트림 선택 시)으로 승차감·코너링 밸런스 안정화

- 전자제어 서스펜션이야 말할 것 없이 좋습니다.실내 승차감, 차량 밸런스를 잡아준다는 점에서 더할나위 없이 좋은 옵션이지만,
플래티넘 트림으로 빠져있는건 조금 아쉽네요.

•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 및 통합 주행 모드(스마트/컴포트/스포츠/에코) 지원

 

차량 제원

전장 5,035 mm
전폭 1,880 mm
전고 1,462 mm
휠베이스 2,895 mm
엔진 배기량 2,497 / 3,470 / 1,598 / LPG
최고 출력 198 PS(2.5)·281 PS(3.5)·230 PS(HEV)
최대 토크 25.3 kg·m / 36.0 kg·m / 35.0 kg·m
연비(복합) 11.2 km/ℓ (2.5)·10.4 km/ℓ (3.5)·18.1 km/ℓ (HEV)

가격

2025년형 그랜저 국내 권장 소비자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VAT 포함)

  • 프리미엄: 37,680,000원 (약 3,770만원)
  • 익스클루시브: 42,580,000원 (약 4,260만원)
  • 캘리그래피: 47,210,000원 (약 4,721만원)

    * 추가로 블랙 익스테리어, 블랙 잉크 트림도 약 4700~4850만원대에 구성되어 있습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다른 대안이 많긴합니다.)
  •  

경쟁 차종

플래그십 세단 시장의 주요 경쟁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기아 K8 하이브리드, 테슬라 모델 3 전동화 세단입니다.
E-클래스는 럭셔리한 실내·승차감, K8은 하이브리드 연비·상품성, 모델 3는 전기차 효율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강점입니다.

* 위 차량들중 E클래스와 같은 차량은 그랜저보다 가격대가 높은 차량이지만, 현재 중고차 시장에서 가격은 엇비슷하고 아무래도 그랜저 가격이 많이 올라왔기 때문에 '동급'까진 아니어도 경쟁 해볼만한 차량이라고 생각하여 선정했습니다.

 

시장 위치

그랜저는 오랜 기간 국내 플래그십 세단 시장을 대표해 왔으며, 2025년형 풀체인지 모델 출시로 브랜드 위상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신형 모델의 대형화와 첨단 사양 적용은 기함 세단 수요층은 물론 비즈니스 고객에게도 강력한 어필 포인트로 작용합니다.

 

추천 옵션

• 파노라마 선루프 패키지: 개방감 극대화 및 쾌적한 주행 환경 제공
• BOSE 프리미엄 사운드 패키지: 14스피커 외장 앰프 탑재, 고급 음향 경험
• 스마트 센스 II 패키지: 고속도로 주행 보조, 후측방 충돌방지 등 안전 사양 강화
• 전자제어 서스펜션: 코너링 및 승차감 밸런스 최적화

 

마치며.

7세대 그랜저는 대형 세단의 여유로운 공간감과 첨단 기술을 결합해 한국 플래그십 세단 시장의 기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습니다.
가족·비즈니스·장거리 운행 등 모든 상황에서 품격과 편의를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그랜저는 여전히 최적의 선택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